본문 바로가기

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조건 2025년 기준&카드납부 혜택 총정리

달콤한 서른 2025. 7. 15.
반응형

7월이 되니 어김없이 재산세 고지서가 도착했어요.

아이 키우며 바쁜 와중에 세금 혜택까지 챙기기 쉽지 않은데요,

특히 1세대1주택자라면,반드시 챙겨야 할 감면 제도와 세율 인하 혜택이 있습니다.

2025년 기준 감면 요건,특레세율,납부기한,이의신청 방법까지

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!

1가구1주택-재산세-감면-납부

1.1세대1주택 재산세 감면 대상 요건

다음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감면 대상인데요.

 "1세대"란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 내에

세대원 모두가 1주택만 보유한 경우를 말합니다.

  • 1세대 1주택 보유
  • 공시가격이 9억원 이하
  • 과세기준일(매년 6월 1일) 기준 현재 주택 소유중

2.재산세 감면 혜택 및 특례세율 적용

-감면 대상자에게는 아래와 같은 특례세율이 적용됩니다

공시가격 구간 일반 세율 특례 세율(감면 적용) 인하율
0.6억 이하 0.1% 0.05% 50% 인하
0.6~1.5억 0.15% 0.1% 약 33,3% 인하
1.5~3억 0,25% 0.2% 20% 인하
3~9억 0.4% 0.35% 약 12.5% 인하
  • 세율이 구간별로 최대 0.05%p 인하
  • 공시가 1억원 이하 주택은 50% 감면
  • 공시가 9억 이하 주택은 최대 연간  27만원까지 절세 가능

3.감면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

  1. 위택스 홈페이지 접속(https://www.wetax.go.kr/)
  2. '부동산 공시가격 조회' 메뉴 클릭
  3. 주소 입력 후 2025년 공시가격 확인
  4. 감면 대상 조건 충족 여부 직접 점검
 

wetax

지방세, 위택스에서 더욱 더 쉽고 편리한 서비스를 만나 보세요

www.wetax.go.kr

4.2025년 재산세 납부 기한 언제까지?

  • 납부기간:2025년 7월 16일 ~7월 31일까지
  • 납부방법:위택스,금융기관 창구,인터넷 지로,카드 납부 등
  • 납부 기한을 넘기면 3% 가산금이 붙으니 꼭 확인하세요

5.재산세 이의 신청 방법도 알아두세요

감면 대상인데 고지서에 적용되지 않았거나,

공시가격이 너무 높게 책정되었다면 이의신청 가능해요.

  • 접수기한:납부기한 내 또는 납부 후 90일 이내
  • 방법:시,군,구청 세무과에 방문 또는 위택스 민원 신청
  • 준비물:감면 요건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(주민등록등본,공시가격 내역 등)

6.자주 묻는 질문(Q&A)

질문 답변
재산세 감면은 자동으로 적용 되나요? 대부분 자동 적용되지만
공동명의나 세대분리 등은 누락될 수 있어 직접 확인필요
공동명의 주택도 감면 받을 수 있나요? 가능(단, 두 명 모두 다른 주택 없어야함)
공시가격은 어디에서 보나요? 위택스 또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확인가능
카드 납부 가능? 수수료가 있나요? 위택스나 서울시 ETAX에서 가능, 카드사 무이자 할부 이벤트 

 

7. 요약 : 2025년 재산세 감면 핵심 포인트

  • 1세대 1주택 + 공시가격 9억 이하 :감면 대상
  • 특례 세율 적용으로 최대 50% 세금 절감
  • 납부 기한은 7월 31일까지, 카드 납부 가능(무이자 할부 많음)
  • 조건 미적용시 이의신청 가능, 고지일로부터 90일 이내

 

 

1세대 1주택자라면

재산세 감면 혜택이 생각보다 꽤 큰편이에요!!

한 번만 제대로 챙겨두면 매년 혜택 받을 수 있으니

우리집만 몰라서 손해보지 않도록 세금혜택 꼭 챙겨보세요 :)

반응형

댓글